반응형 공부/공학(Engineering)6 [화학공학] Evaporator의 원리와 종류(1) 이번에는 석유화학공업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Evaporator(증발기)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Evaporator는 간단하게 설명하면 소금물을 냄비에 넣고 끓이는 것과 유사하다. 하지만 그간 많은 선배들(?)이 Engineering적인 관점에서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Evaporator를 고민했을 것이다. 그래서 그것들에 대한 원리와 장단점, Application까지 알아보자. (이번에는 다소 내용이 길어질 것 같다.몇 부작이 되려나 모르겠다..) 1. Evaporator의 간단한 원리⇒ Evaporator는 Evaporate(증발시키다)의 명사로 말그대로 증발기이다. 해당 Equipment는 Liquid 상에서 특정 물질만을 분리하던가(Liquid-Vapor) 또는 Liquid 내에 .. 2024. 10. 27. [화학공학] 고정층 반응기 내부 유동 흐름(Bubble, Trickle, Mist, Fulse Flow) 지난 번 까지 FBR 반응기에 대한 개요와 FBR 반응기의 L/D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금번에는 Liquid-Vapor Phase FBR 반응기 내부에서 Flow Rate에 따른 유동 흐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FBR 반응기 내 유동 흐름은 반응기 내부에 흐르는 반응물들의 유량(또는 유속)에 따라 아래 4종류로 나타낼 수 있다. ❶Trickle Flow ❷Pulse Flow ❸Spray Flow ❹ Bubble Flow. 하나씩 살펴보자. FBR 반응기에 대한 기초는 아래 글들을 참조하자.[공부/공학(Engineering)] - [화학공학] 고정층 반응기(Fixed Bed Reactor, FBR)[공부/공학(Engineering)] - [화학공학] 고정층 반응기 설계(Fixed Bed React.. 2024. 8. 11. [화학공학] 고정층 반응기 설계(Fixed Bed Reactor Design) 고려 사항(1)_L/D 정하기 지난 번 글에서는 고정층 반응기(Fixed Bed Reactor)에 대해 알아보았고 FBR 반응기 설계 시 중요 인자 중 하나인 L/D 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FBR에 대한 다른 정보는 아래 목록을 참조하자[공부/공학(Engineering)] - [화학공학] 고정층 반응기(Fixed Bed Reactor, FBR)[공부/공학(Engineering)] - [화학공학] 고정층 반응기 내부 유동 흐름(Bubble, Trickle, Mist, Fulse Flow)1. 정의L/D는 반응기의 Length(높이)와 반응기의 Diameter의 비율을 말한다. Length의 경우는 촉매층 높이만으로도 할 수 있고, 아니면 반응기 T.L to T.L로도 할 수 있다. 보통은 후자의 Length로 하는 경우가 많다. .. 2024. 7. 14. [화학공학] 공간 시간(Space Time)과 공간 속도(Space Velocity) 오늘은 반응공학에서 자주 사용되는 공간 시간과 공간 속도에 대해 알아보자. 1. 공간 시간(Space Time, 𝛕)- 아래와 같은 반응기가 있을 때, 공간 시간이란 다음과 같다.반응기 전체 부피를 반응기에 투입되는 양(Feed Rate)으로 나눈 값으로 정성적인 의미로는 반응물이 반응기 내 체류하는 시간을 말한다. -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𝛕(공간 시간), V(반응기 부피, ㎥), Fo(반응기 투입되는 양, ㎥/hr) 2. 공간 속도(Space Velocity, SV)- 공간 속도란 다음과 같다.공간 속도는 공간 시간의 역수로 나타낸다. 정성적 의미로는 단위 시간 당 얼마나 많은 반응기의 부피 대비 얼마나 많은 양이 반응하는지를 의미한다. -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SV(공간.. 2024. 6. 2.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