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같이 기준 금리에 이렇게도 많이 촉각을 세우고 살았던 적이 있었나 싶다. 현재 '24년 11월 13일 기준으로 한국 실업률이 2달 연속 상승하고 있다. 물가는 1% 수준이며, 11월 FOMC에서는 25 bp를 내린 상황이다. 경기가 더 둔화되기 전에 금리를 낮춰야할텐데 하는 걱정이 들자 2025년 금통위 일정이 궁금하여 찾아보았다.
1. 금통위란?
금융통화위원회는 한국은행에서 중요한 경제정책, 특히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최고 의사결정 기구임. 금통위는 한국 경제 내 Cash Flow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기구라고 생각하면 쉽다. 금통위는 총 7명으로 구성된다. 한국은행 총재(현 이창용 총재)가 위원장을 맡고, 그 외 6명은 대통려으 국회, 금융위원회 등에서 추천 받아 구성된다.
2. 금통위 역할은 뭔가?
금통위 역할은 크게 봐서는 3가지이다. 다만 우리가 알아둬야할 역할은 역시 "기준 금리 결정"이다. 사실 더 크게 보면 "기준 금리" 조정을 통해 경제 상황 및 통화 공급량을 관리한다고 해도 무방하다.
❶ 기준 금리 결정
❷ 경제 상황 분석 및 정책 결정
❸ 통화 공급량 관리
- 여기서 통화 공급은 더 Detail하게 이야기하면 기준 금리 조정뿐만 아니라, 국채를 매도 또는 매입하여 통화량을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은행의 지급준비율을 변경하여 시중에 풀려있는 돈을 조정할 수 있다.
3. ‘25년 금통위 일정
'25년은 '24년과 마찬가지로 더 격변하는 한 해가 될지도 모르겠다. 이미 미국 연준의 파월의장은 "우리가 너무 늦기 않게 금리를 인하토록 하겠다.'라고 천명한 상태이다. (매월 말이 바뀌는 사람이라 신뢰가 안 가지만..) 여튼 그에 맞춰 우리나라의 금리도 지속적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기준 금리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향후 투자 향방에 대해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4. 결론
오늘은 한국의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 대해 알아보았고, '25년 금통위 일정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앞에서 말했듯이 '25년은 정말 중요하면서도 위험한 해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현재 투자자들의 전설이자 오하이오주의 현자인 워렌 버핏은 역대 최대 현금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S&P500, 나스닥, 비트코인 모두 역사상 최고점을 지속 갱신하고 있다. 이번에도 워렌 버핏이 맞을지 궁금하다. 여튼 우리나라도 이러한 세계 정세에 맞춰 "너무 늦기 않게" 기준 금리를 내려 경기침체가 오지 않도록 해야겠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100억대 자산가가 알려주는 30대에 미리 하면 좋은 행동 10가지 (8) | 2025.06.06 |
---|---|
ETF, 리츠의 분배금과 세금, 제대로 이해하기 (0) | 2025.02.07 |
[경제] ISA 운용, 그래서 어떻게 하라는 건가?(최적의 QQQ, SCHD 투자 비율) (3) | 2024.10.20 |
[경제] 왜 아무도 ISA계좌를 제대로 설명해주지 않는가.. (6) | 2024.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