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ETF, 리츠의 분배금과 세금, 제대로 이해하기

by 공부하며 사는 이야기 2025. 2. 7.
반응형

1. 분배금이란 무엇일까?


투자를 하다 보면 ETF나 리츠(REITs)에서 ‘분배금’을 받았다는 이야기를 종종 듣게 됩니다. 분배금은 쉽게 말해, ETF나 리츠가 운용 과정에서 발생한 수익을 투자자에게 나눠주는 것입니다.

그런데 분배금을 받다 보면 ‘주당과세표준액’과 ‘분배금액’이 다르게 표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왜 분배금이 그대로 과세되지 않고, 별도의 기준이 있는 걸까요? 오늘은 이 부분을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2. 분배금이 나오는 과정


ETF나 리츠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익을 창출합니다.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식이 있습니다.

① 주식 배당금 수령

ETF가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면, 해당 기업이 지급하는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가 배당을 지급하면, 삼성전자 주식을 포함한 ETF도 배당을 받게 됩니다. 이후 ETF는 이 배당금을 투자자들에게 나누어 줄 수 있습니다.

② 채권 이자 수익

ETF가 채권을 보유하고 있다면, 채권에서 나오는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국채나 회사채에서 이자가 나오면, 이를 투자자에게 분배금으로 지급할 수도 있습니다.

③ 자산 매매 차익

ETF나 리츠는 보유하고 있던 자산(주식, 채권, 부동산 등)을 팔아서 이익을 남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년 전에 1,000원에 산 주식을 1,200원에 팔면 200원의 차익이 발생하는데, ETF는 이 수익을 투자자들에게 분배할 수도 있습니다.

④ 원금 반환 (ROC: Return of Capital)

ETF나 리츠는 꼭 수익이 나지 않아도 투자자에게 분배금을 지급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기존에 투자한 원금에서 일부를 돌려주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원금을 돌려주는 경우에는 세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3. 분배금과 주당과세표준액의 차이


ETF에서 지급하는 분배금에는 세금이 붙는 부분과 붙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 과세 대상 (세금 부과됨)
• 기업으로부터 받은 배당금
• 채권 이자 소득

❌ 비과세 대상 (세금 없음)
• 원금 반환(ROC)

즉, ETF가 지급한 **전체 분배금 중에서 세금이 부과되는 부분만 따로 계산한 것이 ‘주당과세표준액’**입니다.

4. 실제 분배금을 받을 때 세금 계산 방법


투자자가 1주를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분배금과 세금을 계산해보겠습니다.

예제
• 분배금액: 1,000원
• 주당과세표준액: 900원 (과세 대상)
• 세율: 15.4% (배당소득세 14% + 지방소득세 1.4%)

👉 세금 계산:
900원 × 15.4% = 138.6원

👉 실제 수령액:
1,000원 - 138.6원 = 861.4원

즉, 투자자는 1,000원의 분배금을 받지만, 세금이 차감된 861.4원이 실제 입금되는 금액이 됩니다.

5. 정리: 분배금과 세금, 이렇게 이해하면 됩니다!


✔ ETF, 리츠의 분배금은 배당금, 이자, 매매차익, 원금 반환 등에서 나옵니다.
✔ 모든 분배금이 과세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며, 과세 대상 금액만 따로 계산한 것이 ‘주당과세표준액’입니다.
✔ 투자자가 받는 실제 분배금에서 ‘주당과세표준액’에 대해서만 세금이 부과됩니다.

이제 분배금과 세금의 개념이 조금 더 명확해졌나요?
앞으로 분배금을 받을 때, 세금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쉽게 이해하고 투자할 수 있을 겁니다!

반응형